2026년 적용 최저임금이 시급 10,320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.

그러나 이 금액이 월급으로 얼마인지, 주휴수당 포함 시 얼마인지, 또 시급제와 월급제에서 차이는 없는지 궁금하신 분들 많으시죠?

이번 포스팅에서는 2026년 최저임금에 대한 모든 계산법과 핵심 정보를 정리했습니다.

실제 사례와 함께 최저임금 산입범위까지 꼼꼼히 알려드릴게요.

✅ 2026년 최저임금 요약

  • 시급: 10,320원
  • 전년 대비 인상률: 2.9%
  • 주휴수당 포함 시급: 12,384원 (주 15시간 이상 근로 시 적용)

📅 월급으로 계산하면?

209시간(월 환산 기준) × 시급 10,320원 = 2,156,880원

👉 월급제 근로자는 2026년 월 최저 2,156,880원을 받아야 합니다.

💡 주 30시간 근무자 예시

  • 하루 6시간 × 주 5일 = 30시간
  • 주휴수당 포함 주 총 근로시간: 36시간
  • 36시간 × 4.345(월환산) ≈ 156시간
  • 156시간 × 10,320원 = 약 1,610,000원

➡️ 비정규직, 단시간 근로자도 시간 수에 따라 월급 기준이 달라집니다.

📌 시급제 vs 월급제 실전 비교

월급제: 월 209시간 고정

시급제: 월 근무일 수, 주휴일 수에 따라 변동

예시 - 2026년 1월 기준:

  • 주휴일 5회 시: 약 2,220,000원
  • 주휴일 4회 시: 약 2,135,000원

🔎 시급제는 달마다 급여가 달라질 수 있으며, 주휴일 수에 따라 차이가 발생합니다.

 

 

 

🧾 최저임금 산입범위는?

포함되는 항목:

  • 기본급
  • 직책수당, 직무수당
  • 근속수당
  • 교통비 (정기 지급 시)
  • 정기 상여금 (매월 1회 이상 지급)

포함되지 않는 항목:

  • 연장/야간/휴일 근로수당
  • 연차 미사용수당
  • 2개월 이상 주기로 지급되는 상여금
  • 인센티브

🚨 명세서에 총액이 기준액보다 높아도, 산입 되지 않는 항목 포함 시 최저임금 위반 가능성 있음!

🧮 실제 사례로 보는 위반 여부

✅ 사례 1: 주 40시간 근무자, 월급 245만 원

  • 산입 제외: 상여금, 연장수당, 연차수당
  • 실제 산입액: 215만 원

🔻 최저 월급 기준(2,156,880원)에 미달 → 위반

✅ 사례 2: 주 35시간 근무자, 월급 200만 원

  • 산입 제외 후: 180만 원
  • 기준: 약 1,888,560원

🔻 역시 위반

❗ 최저임금 Q&A

Q1. 근로자와 합의하면 최저임금 미만 지급 가능?

❌ 불가. 최저임금은 강행규정이며, 합의해도 무효입니다.

Q2. 수습기간에는 감액 가능?

✅ 가능 조건:

  • 근로계약 1년 이상
  • 단순노무직 아님
  • 최대 3개월까지 90% 지급 가능

Q3. 미성년자, 외국인도 감액 적용?

차별 없이 동일 최저임금 적용됩니다.

✅ 마무리 요약

  • 2026년 최저임금은 시급 10,320원 / 월 2,156,880원
  • 주휴수당 포함 여부에 따라 실질 시급은 다를 수 있음
  • 급여명세서에서 산입범위를 반드시 따져봐야 위반 여부를 알 수 있음
  • 수습/단시간/시급제/월급제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계산식 달라짐